
공공 와이파이와 디지털 격차의 새로운 시선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인터넷은 생존과 직결된 사회적 인프라다. 정보 접근은 곧 교육·복지·경제적 기회의 총합이며, 이 관문을 여는 가장 손쉬운 도구 중 하나가 바로 공공 와이파이이다. 그러나 와이파이가 무료로 제공된다고 해서 누구나 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즉 정보화 사회에서의 기본적인 해석 능력과 활용 능력이 함께 보장되지 않는다면 공공 와이파이는 형식적 제공에 그칠 수밖에 없다.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과 인프라 확산을 자랑하지만, 디지털 활용 역량의 격차는 여전히 크다. 특히 노년층, 청소년,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 집단일수록 공공 와이파..

도시의 교통수단 중 지하철은 하루 수백만 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이용하는 필수 기반시설이다. 특히 와이파이 제공 여부는 단순한 편의 차원을 넘어, 도시의 디지털 접근성과 시민 생활의 질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글로벌 대도시인 서울과 뉴욕의 지하철 와이파이 정책을 속도와 보안이라는 두 핵심 요소 중심으로 비교하고, 두 도시가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왔는지 살펴본다. 서울 와이파이는 빠르고 안정적, 뉴욕은 아직 발전 중서울의 지하철 와이파이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고 잘 터지는 대표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서울교통공사와 각 운영기관은 4G LTE 및 5G 기반 백홀(Backhaul)을 활용하여 열차 내 와이파이 속도를 높이는 데 집중해왔다. 특히 2021년부터는 5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