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3

관광지 중심 공공 와이파이, 외국인 이용 실태와 만족도 분석

관광지 공공 와이파이 확산 배경과 정책 의의한국은 연간 수백만 명의 외국인이 방문하는 글로벌 관광국가다. 특히 서울, 부산, 제주, 경주 등 주요 관광도시를 중심으로 국내 관광산업은 국가 경제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공공 와이파이는 단순한 편의시설을 넘어 관광객의 정보 접근성과 경험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에 도착했을 때 가장 먼저 필요로 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무료 인터넷 접속’이며, 여행 중 지속적으로 찾는 것도 와이파이 사용 가능 장소다.이에 따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 와이파이를 관광지 중심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명동, 경복궁, 인사동, 홍대 등 주요 관광지에 고..

지방 소도시 공공 와이파이, 형식적 설치에 그치고 있는가?

공공 와이파이 확대 정책과 지방 소도시의 현주소정부는 디지털 포용 사회 실현을 목표로 2025년까지 전국에 총 4만 개의 공공 와이파이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누구나 장소에 관계없이 무료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려는 디지털 복지의 일환으로, 특히 정보 접근에 취약한 계층과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계획은 대도시뿐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 농어촌, 도서지역 등에서도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하나, 실제로는 지역 간 차이가 존재한다.지방 소도시의 경우, 인구밀도나 예산, 인프라 수준이 낮아 공공 와이파이 사업이 ‘단순 설치’ 위주로 전개되는 경향이 강하다. 겉보기에는 여러 장소에 AP(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있어 디지털 포용이 실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제 이용자들의..

공공 와이파이와 사설 와이파이의 속도·안정성 비교

공공 와이파이와 사설 와이파이의 정의 및 보급 현황무선 인터넷은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기본 인프라다. 그중에서도 ‘공공 와이파이’와 ‘사설 와이파이’는 가장 일반적인 무선 접속 형태로서,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된다. 공공 와이파이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또는 민간 사업자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다. 예를 들어, 시청, 도서관, 지하철역, 공원, 전통시장, 버스정류장 등에서 흔히 접속할 수 있으며, ‘서울 까치온’, ‘부산 Public Wi-Fi’와 같은 지역 브랜드를 갖고 운영되기도 한다.반면 사설 와이파이는 가정, 기업, 매장 등 특정 사용자가 유료 인터넷 회선을 기반으로 설치한 전용 무선망이다. 설치자 본인 혹은 승인된 사용자만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