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3

AI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한 스마트 도시 발전 가능성

공공 와이파이와 스마트 도시의 교차점21세기의 도시가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스마트시티’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교통, 환경, 안전, 에너지, 복지 등 도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도시 형태이다. 이 스마트시티의 근간은 바로 ‘데이터’이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이때 공공 와이파이는 시민 참여형 데이터 플랫폼이자 도시 정보 전달 통로로서, 그 중요성이 급속히 부각되고 있다.기존의 공공 와이파이는 단순히 인터넷 접속용 네트워크로 기능했지만, 이제는 AI 기술과 융합되면서 한층 더 진화된 스마트 인프라로 변모하고 있다.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정보, 이동 경로, 사용 패턴 등은 도시 운영을 위한 ..

공공 와이파이 망 관리 시스템

공공 와이파이의 구조와 구성 요소공공 와이파이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로, 정부 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그리고 일부 민간 기업에서 구축 및 운영한다. 표면적으로는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이용해 접속할 수 있는 ‘무료 인터넷’처럼 보이지만, 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이 작동하고 있다.공공 와이파이 망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진다. 우선 이용자가 직접 접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AP)가 있다. 이 장치는 사용자의 기기와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리 장비이며, 보통 실내에는 천장이나 벽면에, 실외에..

청소년과 공공 와이파이

‘연결’이 권리인 디지털 세대 청소년과 공공 와이파이오늘날 청소년은 흔히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불린다. 어릴 적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자란 세대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과제를 검색하고, 친구와 대화하며, 여가시간을 보내고, 학습 콘텐츠를 소비하는 모든 일상을 온라인 공간을 통해 수행한다. 실제로 국내 통계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95%를 넘었으며, 하루 평균 3~6시간 이상을 인터넷 기반 활동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에서 ‘연결된 상태’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즉 하나의 기본권으로 간주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하지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곧 모든 청소년이 평등하게 디지털 환경을 누리고 있다는 의미는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