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는 계약서 작성 과정에서 사소한 실수나 누락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런 오류는 계약 이후 보증금 분쟁, 수리 책임 다툼, 계약 해지 문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첫 전세 계약 당시 주소 오기재와 특약 누락으로 곤란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할 때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계약서에서 가장 자주 틀리는 항목들
주소 오기재
- 건물 동·호수, 지번, 도로명 주소 혼동
- 등기부등본 주소와 계약서 주소가 일치하지 않으면 확정일자·보증금 보호에 문제 발생
실제로 제가 겪은 사례: 계약서에는 101호로 적혔는데 등기부에는 A동 101호였고, 나중에 은행 대출 심사에서 보완 요청을 받았습니다.
보증금·월세 금액 표기
- 숫자와 한글 병기 시 금액 불일치 사례 발생
- 보증금 50,000,000원을 한글로 오천만 원이 아닌 오백만 원으로 잘못 기재 → 법적 분쟁 위험
임대인·임차인 인적 사항
- 임대인 이름과 실제 소유자 불일치
- 대리 계약 시 위임장·인감증명서 누락
특히 전세사기 사건에서 명의자와 계약자가 달라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약사항 누락
- 관리비 부담 주체 불분명
- 수리·보수 비용 범위 불명확
- 반려동물 가능 여부 미기재
특약은 말로만 합의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반드시 서면에 기재해야 합니다.
계약 해지 및 위약금 조건
- 중도 해지 시 위약금 산정 기준이 불분명
- 계약금을 포기하는 조건인지, 일부 반환이 가능한지 등 구체적으로 명시 필요
계약서 작성 절차에서 주의할 점
- 등기부등본 대조
– 계약 전 최신 등기부등본 발급 → 소유자·주소 확인 - 계약금 송금 계좌 확인
– 반드시 임대인 본인 명의 계좌인지 확인 - 금액 병기 원칙 준수
– 숫자와 한글로 동시에 적되 반드시 동일하게 기재 - 특약사항 꼼꼼히 기록
– 관리비, 수리, 반려동물, 옵션 기기(에어컨, 보일러 등) 관리 책임까지 명확히 - 날인·서명 확인
– 임대인·임차인 모두 자필 서명 또는 인감 날인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자주 틀리는 부분 체크리스트
항목 | 자주 틀리는 내용 | 예방 방법 |
---|---|---|
주소 | 등기부와 계약서 주소 불일치 | 등기부등본 확인 후 기재 |
보증금/월세 | 숫자와 한글 병기 불일치 | 계약 전 서로 대조 확인 |
임대인 정보 | 명의자와 계약자 다름 | 인감증명서·위임장 확인 |
특약사항 | 관리비, 수리, 반려동물 등 누락 | 모든 구두 합의를 서면 기록 |
위약금 | 중도 해지 시 조건 불분명 | 계약서에 산정 기준 명시 |
실제 경험담
제가 처음 전세 계약을 할 때, 관리비 포함이라고 말로만 약속했는데 계약서에는 기재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매달 별도의 관리비를 내야 했고, 이 문제로 임대인과 갈등이 있었습니다. 그 뒤로는 특약사항을 반드시 꼼꼼히 작성하고, 사소한 부분도 빠짐없이 기록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FAQ
Q1. 계약서 주소가 등기부등본과 다르면 문제가 되나요?
A. 네. 확정일자, 전입신고 시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드시 일치해야 합니다.
Q2. 계약금을 현금으로 지급해도 되나요?
A. 가능은 하지만, 추후 분쟁 대비를 위해 반드시 계좌이체로 기록을 남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특약사항은 어디까지 기록해야 하나요?
A. 관리비, 수리, 옵션 기기, 반려동물, 위약금 등 실제 생활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모두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인감증명서는 언제 필요한가요?
A. 임대인이 직접 계약하지 않고 대리 계약을 할 경우 반드시 필요합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작성은 단순한 형식 절차가 아니라, 수억 원의 보증금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안전장치입니다. 주소 오기재, 금액 불일치, 특약 누락 등은 자주 발생하는 실수이지만, 작은 꼼꼼함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사소한 실수로 불필요한 갈등을 겪지 않으려면,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계약서를 꼼꼼히 작성하시길 권장합니다.
'생활 법률 & 행정 절차 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정산 방법, 계산법과 실제 사례 (0) | 2025.09.08 |
---|---|
청년 전세자금대출 신청 과정 실제 후기와 꿀팁 (0) | 2025.09.05 |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9.03 |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등기부등본 해석법 (1) | 2025.08.31 |
확정일자 받는 방법, 전월세 계약자 필수 체크리스트 (1) | 202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