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2

공공 와이파이 관련 해외 사례

일본의 공공 와이파이일본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공공 와이파이 인프라 확장에 나선 국가다. 특히 2010년대 초반부터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의 일환으로 대규모 공공 와이파이망을 구축해 왔다. 주요 도시인 도쿄, 오사카, 교토 등에서는 공항, 역, 호텔, 편의점, 지하철 등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 중심으로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며, ‘Japan Connected-free Wi-Fi’라는 통합 앱을 통해 여러 지자체의 와이파이망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일본의 공공 와이파이망은 민간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와이파이는 30분~60분 단위로 이용 제한이 있으며, 광고 시청 또는 간단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요구한다. 이는 네트워..

공공 와이파이 운영 주체의 문제

공공 와이파이 운영 구조와 민간 위탁의 현주소공공 와이파이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정보 격차 해소와 디지털 복지 실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 중 하나다. 지방자치단체나 정부 기관이 설치를 주도하지만, 그 운영과 관리 측면에서는 민간 기업에게 위탁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즉, 공공은 인프라를 제공하고, 운영·유지보수는 전문 통신사나 IT 업체가 담당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민간 위탁 방식은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도입된 방식이지만, 최근 들어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며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현행 공공 와이파이 운영 구조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별도의 전문 인력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사나 네트워크 관리 업체와 일괄 위탁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