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와이파이 커버리지의 새로운 과제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드론, 로봇, 자율주행 기기 등 스마트 자동화 기기의 일상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배달 드론, 순찰 로봇, 안내 로봇, 실내외 물류 이송 로봇 등은 이제 시범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서비스 구현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특히 도심 상업지구, 병원, 공항, 캠퍼스, 물류센터, 공원 등에서 활발히 운영 중이다. 이들 기기의 공통점은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과 원격 제어가 핵심 기술 요소라는 점이며, 이는 곧 안정적인 무선 통신 환경이 필수적이라는 뜻이다.그러나 한국의 공공 와이파이는 사람 중심의 고정 지점 통신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왔다. 일반 시민의 정지 또는 저속 이동 상태에서의 접속 안정성을 기준으로 커버리지(수신 범위)와 AP(..

공공 와이파이, 보이지 않는 에너지 소비자공공 와이파이는 현대 도시의 필수적인 디지털 인프라로 자리 잡았지만, 그 이면에는 일반 시민들이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꾸준한 전력 소비 구조가 숨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무선’이라는 단어에서 에너지 사용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떠올리곤 하지만, 사실상 와이파이 서비스는 고정된 전력 기반 위에서 작동하는 대표적 전자 통신 설비다. 공공 와이파이의 기반이 되는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는 24시간 작동하며, 송수신 기능 외에도 방화벽, 인증 서버, 백홀 회선 장비 등과 함께 상시 전력 소모 상태를 유지한다.한국처럼 도시 전역에 수만 개의 공공 와이파이 노드가 분산 설치된 경우, 전체 전력 사용량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와이파이 1대당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