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화 사회와 디지털 격차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국가 중 하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이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로 분류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는 디지털 격차로 인한 정보 접근권의 불균형이다. 디지털 기술이 일상생활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노년층은 스마트폰, 인터넷, 키오스크 등의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저소득 고령자나 독거노인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조차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이러한 격차는 단순한 기술 미숙의 문제가 아니다. 디지털 접근성이 떨어질수록 공공 서비스 이용, 금융 거래, 건강 관리, ..

ESG 시대, 공공 인프라에도 지속가능성이 요구된다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는 단순한 기업 윤리를 넘어, 공공 정책과 디지털 인프라의 기본 가치로 확산되고 있다. 이제는 정부와 지자체 역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정책의 정당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특히 공공 와이파이와 같은 ICT 인프라는 설치·운영 단계에서 자원의 소비와 사회적 영향을 수반하기 때문에, ESG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인프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과연 공공 와이파이는 ESG 경영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어떤 방향으로 진화해야 할까? 환경(E): 에너지 효율과 탄소 저감공공 와이파이는 전국적으로 수만 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